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교과목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교과목 핵심과목

국제정치경제론(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1학기 개설, 2학년 교과목

국제정치경제 관계에 대한 중요 이론적 관점들을 살펴본 뒤, 실질적 문제영역들을분석하고 이를 이론적 맥락에서 조망

정치철학(Political Philosophy)

1학기 개설, 4학년 교과목

(통상 3학기마다 개설; 수강하고자 하는 연도에 개설되는지 정치학과에 문의할 것)

자유와 평등은 상충하거나 대체 관계를 맺는다는 통념을 비판적으로 재고함으로써, 두 가치의 관계를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한다. 요컨대 서로 정당하게 주장할 수 있는 자유와 평등의 종류, 형태, 내용과 그 관계를 논의한다. 나아가 이때 “서로”의 범위와 성격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를 논의한다. 읽기 과제는 현대 서양 정치철학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인 평등주의적 자유주의적(egalitarian liberalism), 공리주의(utilitarianism), 그리고 자유지상주의(libertarianism)의 주요 저작을 중심으로 한다. 읽기와 쓰기 과제는 (1) 이들 이론의 이해와 (2) 자유와 평등의 관계에 관한 학생의 독립적 견해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선택이론 (Public Choice Theories) 정치과정을 공공재의 시장외적인 교환과정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전제에 입각하여 사익에서 출발한 개개인의 행위가 공동체의 공익으로 수렴될 수 있는 기제와 원리를 탐구한다. 구체적으로 국가안보, 경찰, 환경 등 다양한 공공재의 창출을 위한 투표행위, 정당간 연합행위 등의 정치적 과정을 이해하도록 도모한다.
선택과목 정치학원론 (Principles of Political Science) 정치학 전공 탐색과목. 정치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논리적 사고 능력을 배양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정치사상, 정치이론 및 방법론, 정치과정, 비교정치, 한국정치, 국제정치 등의 기초를 소개한다.
서양정치사상1 (Western Political Thoughts 1) 바람직한 인간공동체의 理想型과 인간행위의 공동선을 위한 동기를 탐구 모색한 선현들의 정치사상을 이해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현대인들의 정치행위의 근간을 이루는 정치사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 시대의 바람직한 공동체상, 공동선을 추구함으로써 우리사회의 철학적 기초를 재평가한다.
동아시아정치사상 (Introduction to Korean Political Thoughts) 이 과목은 동아시아 정치사상 입문이다. 길고 복잡한 동아시아 정치사상사 전체를 다루기보다는, 가장 영향력이 컸던 학파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정치사상을 개관한다. 수업시간에는 선진제자백가에서 모택동에 이르는 주요 정치 사상가들의 저작을 읽고 토론하게 된다. 이 수업은, 동아시아의 정치사상사에 대한 일정한 지식을 함양하고자 하는 동시에, 일반적이지만 대학교육에 핵심을 이루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꼼꼼히 읽기, 쓰기, 논변 능력의 배양.
현대정치사상 (Contemporary Political Thoughts) 현대의 주요한 정치사상의 갈래를 자유주의, 민주주의, 신보수주의, 공동체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주의 등으로 분류하여 고찰한다. 각 정치사상의 이론적 전제와 핵심적 주장, 그리고 이념들 간에 전개되는 논쟁의 쟁점들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평가를 강의의 목표로 한다.
비교정치론 (Comparative Politics) 이 과목의 중심목표는 수강생에게 정치의 여러 측면, 즉 정치 체제, 제도, 문화, 과정, 행태 및 공공정책에 대한 비교연구를 소개하는 것이다. 정치현상에 대한 비교연구는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 것인가, 그리고 비교정치연구에서 어떤 주제와 쟁점들이 논의되어 왔는가를 살펴본다.
현대민주주의의 쟁점 (Issues of Contemporary Democracy) 이 강의는 민주화 이행 동학 및 민주주의의 심화 문제를 주제로 한다. 먼저 정치변동 및 민주화를 설명하는 관점들을 소개하고, 민주주의하에서 신자유주의 경제개혁이 시행될 때 나타나는 정치적 동학과 함의를 살핀다. 그리고 지구화 및 정보사회화 등의 변화 속에 현대 민주주의가 어떠한 도전에 직면하여 있는지를 고찰한다. 나아가 대의 민주주의의 한계와 대안, 거버넌스 구축 등 민주주의의 질적 심화 방향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한다.
한국정치론 (Governments and Politics of Korea) 지난 반세기의 현대한국정치를 국제정치론, 정치제도론, 정치문화론, 정치과정론, 정치경제론의 시각에서 분석하는 강의이다.
국제정치학개론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Politics) 국제관계의 양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어 왔으며 21세기를 맞아 어떠한 변화의 과정을 겪고 있는지 다룸. 본 수업에서는 역사학, 사회학, 국내정치 등 보다 넓은 시각에서 국제관계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국제정치사상 (International Political Thought) 근대국제정치질서는 서양의 봉건제 이후 출현한 근대국가를 중심으로 하여 4-500년의 기간동안 역사적으로 형성된 독특한 정치질서였다. 이러한 질서는 단순히 근대국가들의 출현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나왔다기 보다는 그렇게 만들어진 질서를 개념적으로 파악하려는 장기간의 논쟁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런 뜻에서 국제정치사상은 근대국제질서의 주관적 측면이자 동시에 질서 그 자체의 한 부분을 이루는 것이었다. 본 국제정치사상의 강좌에서는 그 4-500년 간의 근대국제질서의 개념화 작업을 조망하는 것이다.
국제관계사개설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국가 중심의 외교사적 분석을 지양하고 지역과 문명 중심의 국제관계사적 분석을 지향하며 근대 이후 유럽과 아시아 및 기타 지역을 중심으로 벌어진 국가 간 관계의 역사를 다룬다.
세계지역연구개론 (Introduction to World Area Studies) 본 교과목은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중심으로 강의가 이루어지게 된다. 1) 정치학의 계보 2) 정치행위의 동기: 권력, 이데올로기와 이익 3) 정치행위자: 개인, 집단과 국가 4) 정부구조와 과정 5) 저항의 정치: 민란과 혁명 6) 근대화와 발전 7) 정책결정과 관료정치.
국제정치이론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이 과목은 한반도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제정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기존의 국내외 국제정치학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둘째, 현대국제정치의 기본구조와 역동성을 밝힌 다음에, 셋째, 이러한 현대국제정치의 역학관계를 우리들은 한반도에서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검토하게 될 것이다.
한국외교정책론 (Korean Foreign Policy) 이 과목은 학문적 탐구의 대상으로서 1948년 이후 한국외교정책의 전개과정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그 목적으로 한다. 강의의 내용으로는 먼저 강의의 중심이 되는 기본적 개념과 이론적 논의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한․미․일 관계를 중심으로 냉전기 한국외교의 전개과정을 살펴본 후 탈냉전기에 있어서 그 변화의 양상과 통상정책과 다자외교, 대북정책과 통일정책, 민주화와 외교정책 등의 문제를 다룰 것이다.
외교론 (Diplomacy) 본 과목은 (1) 외교 개념의 파악과 함께 관련 제도의 변천을 역사 및 비교적인 시각에서 살펴보고, (2) 국가간의 협상 및 교섭에 대해 이론적인 이해를 높이고 실제 사례의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3) 외교일선에서 협상경험이 있는 실무자를 초청해 인식과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과목의 평가는 중간고사와 함께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구성하는 3-4인의 연구팀이 직접 하나의 협상 성공 또는 실패 사례를 선정, 왜 그러한 결과가 초래되었는가를 분석한 보고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정치학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Political Science) 이 과목의 수강생은 정치현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본질과 목적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서는 그와 같은 연구를 체계적으로 추구하는 데에 필수적인 절차와 기법을 학습한다. 주된 강의내용은 정치현상에 대한 과학적 탐구의 가능성과 한계, 설명과 예측을 위한 개념·모형·이론·가설 및 변수, 자료수집의 전략, 자료분석의 기법 등이다.